소개
한국천문올림피아드위원회는 천문 분야 영재 발굴과 천문학의 대중화를 목표로 2000년에 설립되었다. 2001년 10월 27일에 한국천문학회와 한국천문연구원의 공동주최로 전국의 고등학생 535명이 참가한 제1회 한국천문올림피아드(이하 KAO: Korea Astronomy Olympiad)가 서울대학교에서 개최했고, 같은 해 우크라이나에서 열린 제6회 국제천문올림피아드(이하 IAO: International Astronomy Olympiad)에 박용선 위원과 임인성 위원을 참관인으로 처음 참가했다. 2002년 제7회 IAO부터 한국대표학생들이 참가했으며 2003년에 시작된 정부 지원과 함께 현재까지 IAO에서 총 7번의 종합 1위를 달성했다. 한국천문올림피아드위원회는 매년 전국의 중고등학생 대상으로 KAO를 개최해서 선발된 학생들에게 온라인/오프라인으로 천문학 전반에 걸친 강의와 자료분석실습 및 천체관측실습 교육을 하고 있으며, IAO 외에 2005년부터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이하 APAO: Asian-Pacific Astronomy Olympiad) 그리고 2007년부터 국제천문 및 천체 물리올림피아드(이하 IOAA: International Olympiad on Astronomy and Astrophysics)에 참가하고 있다. 아울러 2009년 제5회 APAO를 전남 담양 소재 담양청소년수련관(9개국 85명 참가), 2012년 제17회 IAO를 광주광역시(22개국 129명 참가), 2016년 제12회 APAO를 전남 고흥 소재 국립청소년우주센터(7개국 73명 참가)에서 각각 개최했다. 그리고 2021년 KAO 개최 20주년을 맞아 역대 위원, 교육강사, 지도교사, 대표학생 등이 저자로 참여한 기념집, ‘꿈나무들, 우주를 가다‘를 발간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국제대회 출전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2022년도 제15회 IOAA 대회와 2022 IRAO 대회에 출전하여 전원 입상하였다. 2022년 한국천문올림피아드는 창의재단의 국제 과학올림피아드 지원사업 평가에서 1위로 평가되었다.
천문올림피아드위원회 운영진 명단 (2000년-2023년)
임기(연도)
|
위원장
|
부위원장
|
총무간사
|
사무국장
|
사무과장
|
2000-2001
|
우종옥(교원대)
|
|
박용선 (서울대)
|
|
조보영
|
2002-2003
|
우종옥 (교원대)
|
홍승수 (서울대)
|
이형목 (서울대)
|
|
조보영
|
2004-2005
|
이상각 (서울대)
|
최승언 (서울대)
|
이형목 (서울대)
|
|
박선희,정해진
|
2006-2007
|
홍승수 (서울대)
|
강용희 (경북대)
|
임명신 (서울대)
|
김유제
|
정해진
|
2008-2009
|
강용희 (경북대)
|
이형목 (서울대)
|
|
김유제
|
정해진
|
2010-2011
|
안홍배 (부산대)
|
이형목 (서울대)
|
|
김유제
|
정해진
|
2012-2013
|
이형목 (서울대)
|
박용선 (서울대)
|
|
김유제
|
정해진
|
2014-2015
|
박용선 (서울대)
|
|
|
김유제
|
정해진
|
2016-2017
|
조정연 (충남대)
|
|
|
김유제
|
정해진
|
2018-2019
|
권석민 (강원대)
|
|
|
김유제
|
정해진
|
2020-2021
|
이희원 (세종대)
|
|
|
김유제
|
정해진
|
2022-2023
|
박수종 (경희대)
|
이성국 (서울대)
|
|
김유제
|
정해진
|
<2000년부터 2022년 3월 현재까지 자문위원 포함하여 천문올림피아드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거나 현재 활동 중인 위원 명단(가나다순)>
강성주(국립과천과학관), 강영운(세종대), 강용희(경북대), 강원석(NYSC), 구본철(서울대), 권석민(강원대), 김갑성(경희대), 김봉규(천문연), 김상준(경희대), 김성수(경희대), 김용기(충북대), 김용철(연세대), 김웅태(서울대), 김유제(천문학회), 김철희(전북대), 김태선(연세대), 김희수(공주대), 류동수(울산과학기술원), 문용재(경희대), 민영기(경희대), 민영철(천문연), 박명구(경북대), 박석재(천문연), 박수종(경희대), 박영득(천문연), 박용선(서울대), 박창범(고등과학원), 박필호(천문연), 박홍서(교원대), 변용익(연세대), 성환경(세종대), 손영종(연세대), 손정주(교원대), 심현진(경북대), 안홍배(부산대), 오규동(전남대), 오수연(전남대), 우종옥(교원대), 윤성철(서울대), 윤태석(경북대), 윤홍식(서울대), 이명균(서울대), 이명현(연세대), 이상각(서울대), 이성국(서울대), 이용복(서울교대, 2004~), 이용삼(충북대), 이우백(천문연), 이형목(서울대), 이희원(세종대), 임명신(서울대), 임인성(천문연, 2004년~), 정장해(충북대), 조세형(천문연), 조정연(충남대), 최승언(서울대), 최윤영(경희대), 천문석(연세대), 한인우(천문연), 형식(충북대), 홍승수(서울대).
천문올림피아드위원회 명단 (2022년-2023년)
위원장
|
박수종 (경희대학교)
|
부위원장
|
이성국 (서울대학교)
|
운영위원
|
강성주 (국립과천과학관)
강용희 (전 경북대학교)
강원석 (국립청소년우주센터)
권석민 (강원대학교)
김웅태 (서울대학교)
김태선 (연세대학교)
손정주 (교원대학교)
심현진 (경북대학교)
오수연 (전남대학교)
윤성철 (서울대학교)
이명균 (서울대학교)
이상각 (전 서울대학교)
이용복 (전 서울교육대학교)
이희원 (세종대학교)
임명신 (서울대학교)
임인성 (천문연구원)
조정연 (충남대학교)
최윤영 (경희대학교)
|
당연직(천문학회장)
|
박명구 (경북대학교)
|
당연직(천문연구원장)
|
박영득 (천문연구원)
|
당연직(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미래인재양성과장
|
당연직(한국과학창의재단)
|
미래인재양성지원팀장
|
천문올림피아드 사무국장
|
김유제 / 정해진
|
활동(2023년)
기간
|
국내대회(KAO) 선발 및 교육
|
국제대회 선발/교육 및 참가
|
운영위원회 / 사무국
|
1월-3월
|
▪ (1/9-15) 제22기 겨울학교 (대면, NYSC)
▪ (1/16-18) 2023년 겨울캠프
(대면, NYSC)
|
▪ (2/18)
23년 대표 선발고사 (22기 2차 선발고사)
(대면, 서울대) |
▪ 제55차 운영위원회의
▪ 2022 사업결과보고서 제출
▪ 천문학회 회계감사회의
▪ 2023 사업계획서 제출
▪ 2차 선발, 대표 선발 사정회의
▪ 2022 사업 연차평가 (창의재단)
▪ 2023 사업협약 (창의재단) |
4월-6월
|
▪ 제23회 KAO 교육생 모집
▪ KAO 교육생 동영상 강의 교육 (홈페이지+온라인) |
▪ 대표후보/예비후보 통신 과제교육
▪ 국제과학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발대식 (창의재단) |
▪ 대표후보/예비후보 선발자 학부모 간담회
▪ 연구회모임 (졸업생모임) |
7월-9월
|
▪ 예비교육생 천문여름캠프
▪ 정규교육생 여름통신과제교육 (2회)
▪ 정규교육생 통신과제해설교육(온라인)
▪ 정규교육생 1차 선발시험 |
▪ 2023 여름학교
▪ 대표최종교육
▪ 제16회 IOAA 참가 (폴란드) |
▪ 사업 중간보고서 제출
▪ KAO 1차 선발 고사 준비 |
10월-12월
|
▪ KAO 1차선발시험 해설교육 (온라인)
▪ KAO 여학생 멘토링 강연
▪ 정규교육생 1차 선발자
가을통신과제교육 (3회)
▪ 예비교육생 가을통신과제교육 (1회)
▪ 주말관측실습교육 (1박)
▪ 정규교육생 1차 선발자 가을통신과제 해설 교육
▪ 예비교육생
가을통신과제 해설 교육 |
|
▪ KAO 1차 선발 사정회의
▪ 겨울학교/캠프 프로그램 준비 및 운영 계획 수립
▪ 제56차 운영위원회의 |
관련기관
※ 상세 사항은 아래 천문올림피아드 홈페이지 참조
[국문] www.kasolym.org
[영문] www.kasolym.org/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