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INK
커뮤니티

천문저역서

HOME     커뮤니티    위원회     천문저역서

[전문서] 성간물질과 별 탄생 (후쿠이 야스오 외 엮음 / 조세형 외 옮김) (2015)
저자 : 심채경 등록일시 : 2022-09-20 21:
첨부파일 :
성간 물질과 별 탄생 | 현대의 천문학 시리즈 6

엮은이: 마이하라 도시노리,미즈노 아키라,후쿠이 야스오,오니시 도시카즈,나카이 나오마사,이누쓰카 수이치로
옮긴이: 정현수,오충식,노덕규,조세형
출판사: 지성사
발행일: 2015-11-23
원제: 星間物質と星形成 (2008년)
ISBN: 9788978893084 (낱권), 9788978892551 (세트)

책소개
현대의 천문학 시리즈 6권. 우주의 근원을 이해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성간물질과 별탄생에 관한 최첨단 연구 성과와 그 기초를 정리한 책이다. 한국천문연구원에 근무하면서 우리나라 천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를 하고 있는 조세형 박사를 비롯한 4인의 전문학자들이 번역을 맡았다. 성간물질의 존재 규명과 별탄생에 관한 논의는 20세기 후반, 특히 1970년대 이후로 밀리미터파, 적외선, X선 등을 활용하여 본격적으로 연구가 시작되었다.

저자들은 전통적인 천문학 유산의 경험을 바탕으로 물리학적 방법을 동원하여 성간물질에 관한 이론과 별탄생을 규명한다. 은하계에서는 지금도 여전히 이곳저곳에서 항성들이 탄생하고 있다. 우리는 관측으로 그러한 항성이 탄생하는 장소의 상태를 알고, 그곳에서 생성되는 별의 성질을 알아내며, 그것을 물리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이론 모델을 구축하여 태양과 같은 항성이 어떻게 해서 태어났는지를 추측할 수 있다.

제1부 '성간물질'에서는 별이 생성되는 장소로 생각되는 성간 가스구름이 전형적으로 어떠한 물리상태에 있으며 은하계 내에 어느 정도 존재하고, 또 생성된 별이나 초신성 등과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지와 그것을 어떻게 관측하는지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제2부 '별탄생'에서는 지금까지 얻은 관측자료들을 근거로 하여 현재 생각하는 별탄생의 시나리오가 어떤 것인지,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개념은 무엇이며 아직 충분히 해명하지 못한 과제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목차


시리즈를 발간하며
머리말

제Ⅰ부 성간물질
제1장 전체 모습
제2장 HI 가스
제3장 분자구름
제4장 이온화 가스
제5장 초신성 잔해와 고온 가스
제6장 성간먼지

제Ⅱ부 별탄생
제8장 별탄생의 전체 모습 _관측 결과와 기본개념
제9장 소질량성의 탄생 (1) _분자구름에서 원시별로
제10장 소질량성의 탄생 (2) _원시별에서 주계열성까지
제11장 대질량성의 탄생
제12장 우주 초기의 별탄생

참고문헌




이전글 한국천문학회 신간(20172018) 소개
다음글 [일반서] 빅뱅의 메아리 (이강환 지음) (2017)
목록